남의 언어학 공부
This posting is for the Korean readers of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. It introduces the method that utilizes R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Korean lexical strata. 이 포스팅은 학술지 "언어"에 게재된 논문 "한국어 자음-모음 연쇄의 어휘계층 간 비교" 에 사용된 R script 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. 남성현, 김선회. (2018). 한국어 자음-모음 연쇄의 어휘계층 간 비교. 언어, 43(3), 485-506 이곳에서 논문과 관련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1. 원자료 및 사전작업 (어휘계층 분류 및 자모분리) 1.1 어휘계층 원자료는..
This posting is for Korean readers of Studies in Phonetics, Phonology and Morphology. It introduces the method that utilizes R to conduct 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Korean phonological neighbourhood network. 이 포스팅은 "남성현.김선회. 2018. 영어와 한국어 음운이웃 네트워크의 정량적 분석. 음성음운형태론연구 24(1)." 에서 사용된 R코드를 설명하는 페이지입니다. 즉, 한국어 음운이웃 네트워크(PNN)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R을 사용하는 방법으로서,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1. 한글 단어형태를 입력받아 자모분리하여..
######### The poster presented at conSOLE 2018, University College London Phonotactic Difference by Lexical Strata: A Case from Korean Phonological Neighbourhood Network Analysis. ######### (UPDATED 2023-02-19 에 업데이트함) I generated a phonological neighbourhood network for Korean. And I share this .rdata file for research purposes. 한국어 렉시콘의 음운망을 만들었습니다. 연구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Rdata 파일을 공유합니다. If you fin..